곤충목록활용
곤충목록활용
국가 곤충자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곤충을 포함한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한반도에 서식하는 곤충의 표준곤충명과 이명의 관계까지를 포함한 곤충표준목록이 확보되어야 국가곤충자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자연환경보전법 내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 거래 방지에 관한 협약)품목,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동식물 및 일부 특산종의 유출입 허가 시 야생종의 대한 학명의 관계는 물론 정확한 체크리스트(checklist)가 필요합니다. 나아가 수출입을 통한 곤충의 유출입 관리에서 국제적인 거래는 학명이 반드시 표기되어야 하므로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목록의 필요성은 더욱 큽니다.
생물다양성협약을 비롯한 국제협약 대응에 꼭 필요합니다.
생물다양성협약 체결에 따른 국가적 의무사항 중,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파악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첫 단계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총 생물다양성 목록이 필요(국가적인 의무사항임)한데, 현재까지는 곤충명(학명 및 국명) 표준화의 부재로 정확한 종류를 산정할 수 없었습니다. 국가곤충표준목록 작성으로 우리나라에 기록되거나 현재 서식하고 있는 곤충 종류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국제협약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곤충관련 산업 전반에 대한 선진화 투명화를 꾀할 수 있습니다.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2014년 2월 14일 시행) 등에 곤충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선진화, 투명화를 위하여 한국 곤충자원의 목록 파악이 필수입니다.
관련 학문분야의 발전 및 일반인들에 대한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곤충분류학과 관련된 학계는 물론, 곤충과 관련된 보전생물학, 생리, 생태, 생명공학, 유전학, 농학 등 모든 관련분야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지식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현재 목록의 완료 및 이를 활용 할 수 있는 DB구축을 통한 공동이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환경, 자연교육 등 일반인들이 곤충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있으며 이에 따른 환경교육, 곤충도감 등 많은 정보들이 나오고 있으나 곤충명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를 표준화하여 효율적인 산림 및 자연 교육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