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학명소개

메인화면으로 이동 국가표준곤충목록시스템 > 곤충학명소개 > 올바른곤충명표기

올바른곤충명표기

국제동물명명규약

곤충이 관련된 국제동물명명규약(國際動物命名規約, 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은 1842년 영국학술협회에서 Darwin 등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된 후, 1889년 Blanchard에 의해 제1회 국제동물학회(파리)에 제출되었고 그 후 여러 차례의 심의를 거쳐 1901년 제5회 대회에서 규약의 초안이 작성되어 1902년 「International Rules of Zoological Nomenclature」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습니다. 1961년 제15차 국제동물학회에서 채택된 국제동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으로 다시 출간된 후 1964년 제2판, 1985년 제3판, 1999년 제4판이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학명은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한 희랍어를 사용하며 기타의 국어, 숫자 및 기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학명구성 및 해석방법

종군보다 높은 계급의 분류군(아속과 그 이상의 분류계급)의 명칭은 한 단어로 구성됩니다. 종(種)의 학명은 속명-종명의 형식을 취하는 이명법(binominal nomenclature)으로서 속(屬)명은 대문자로 시작되는 명사 또는 명사화한 형용사, 종명(種名)은 형용사 또는 2격 명사가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고 여기에 명명자의 이름을 덧붙입니다. 아종(亞種)의 학명은 속명-종명-아종명의 삼명법(trinominal nomenclature)으로서 아종명은 소문자로 시작됩니다.

예) Aulonocarabus (Weolseocarabus) koreanus coreanicus Breuning, 1950 (국명: 마이고려줄딱정벌레)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어 신종(new species)으로 발표된 종으로, 본 종의 학명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 속명(genus name): Aulonocarabus (이탤릭체, 첫 자 대문자)
  • 아속명(subgenus name): (Weolseocarabus) (이탤릭체, 첫 자 대문자, 괄호안 표기)
  • 종명(species name): koreanus (이탤릭체, 첫 자 소문자)
  • 아종명(subspecies name): coreanicus (이탤릭체, 아종명은 괄호 표기 안함)
  • 명명자 및 명명년도: Breuning, 1950 (Breuning 학자가 1950년도에 본 종에 대해 출판, 명명자와 명명년도 사이에는 콤마(,) 표기)
표. 분류학적 범주(*: 기본 범주) (Winston, 1999; Gullan과 Cranston, 2005)
곤충명관련 분류군범주,접미어,예가 있는 표
분류군 범주(Taxon category) 접미어
계(Kingdom)* 동물계(Animalia)
문(Phylum)* 절지동물문(Arthropoda)
강(Class)* 곤충강(Insecta)
목(Order)* 벌목(Hymenoptera)
상과(Superfamily) -oidea (추천) 꿀벌상과(Apoidea)
과(Family)* -idae 꿀벌과(Apidae)
아과(Subfamily) -inae 꿀벌아과(Apinae)
족(Tribe) -ini (추천) 꿀벌족(Apini)
속(Genus)* 꿀벌속(Apis)
아속(Subgenus)
종(Species)* 양봉꿀벌(A. mellifera)
아종(Subspecies) A. m. mellifera
위의 표에서와 같이 현재 동물분류학에서 인정되고 있는 기존 분류 범주는 계에서부터 종에 이르는 7개의 분류등급(표의 굵은 범주)입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좀 더 세분된 분류단위가 필요할 때 상(上, super-), 이나 아(亞, sub-)라는 접두어를 붙여 보조 분류군을 만들어 사용합니다. 또한 과(科) 단위 이하는 동일한 의미를 갖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제동물명명규약(ICZN)에 따르면 과의 상위계급으로는 상과(superfamily)가 있으며, 그 어미(語尾)는 항상 'oidea'로 끝난다(예: Chrysidoidea, Chrysomeloidea). 과(科)의 어미는 'idae'로 끝나며(예: Tachinidae, Ichneumonidae), 아과는 'inae'로 끝난다(예: Formicinae, Tortricinae). 또한 족(tribe)의 어미는 'ini'로 끝나야 합니다(예: Aphidini, Acanthocinini).

종명 작명 기본 원칙(Winston, 1999)

국제동물명명규약은 종(種) 작명(作名)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을 제공합니다.

  • 종명(種名, species name)은 라틴 문자로 표기한다(A species name must be spelled in Latin letters).
  • 종명이 인명(人名)에서 유래하더라도 소문자로 표기한다(A species name begins with a lowercase letter, even when formed from a personal name).
  • 종명은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예: 엑센트, 아포스트로피 등)(A species name can contain no diacritical marks).

분류학의 중요 연구분야

분류란 여러 사물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을 바탕으로 해서 사물들을 배열하는 과정을 말하며,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사물에 대한 지식을 요약하는 방법입니다. 분류학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조직화하는 방법인 정리 체계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생물학적 분류는 생물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다양성을 자연 체계 속에서 인식하고 질서 있게 정리하여 조직화하는 지식 체계인 것입니다.
분류학의 목적은 생물군을 동정하여, 이름을 명명하고, 기재한 후에 자연적 또는 계통적 유연관계를 반영하는 분류 체계를 정립하면서 생물학의 여러 분야로부터 수집된 증거를 통하여 생물다양성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각 생물들이 공유하는 유사성을 이용하여 생물들을 서로 묶어줌으로써 분류가 이루어집니다. 이때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각 생물이 가진 속성을 분류학적 형질(taxonomic character)로 이용할 수 있는데, 주로 외부형태, 내부의 해부학적 형태, 생태, 생리, 행동, 유전자 그리고 그 생물의 효소, 단백질, 혈청 등의 분자들까지 모두가 이용 가능합니다. 즉 분류학은 종을 인식하고 구분하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서 비롯되어 점차 복잡한 논리와 방법론이 도입된 과학으로 발달하고 있습니다(박, 2004).

생물다양성의 효율적 관리 (박, 2004)

생물다양성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어느 경우에나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들의 목록 작성, 분포 상태를 정확히 파악, 감소 추세나 멸종 위기에 있는 분류군을 탐색, 관리하는 작업이 우선 되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분류학적 연구의 토대가 굳건히 마련되어져야 합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사업을 위해 기본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사항들을 간추려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생물표본의 수집 및 관리
  • 종(種) 목록 작성(species inventory)
  • 계통분류학적 연구
  • 서식처 특징 명시(habitat characterization)
  • 동, 식물상 패턴 분석
  • 분포도 작성
  • 생물학적 감시(biological monitoring)
  • 정보관리와 정보연결(information network)
  • 출판(분류학지침서, 안내서, 모노그래프, 도감, 정기간행물 등)
Quick Menu
곤충명검색
문헌자료실
통계자료실
related site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표준버섯목록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정보이용신청 및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Sitemap Top으로 가기